지식 브런치
지식 브런치
  • Видео 172
  • Просмотров 123 665 357
보물선의 보물은 누구 걸까? 도둑이 도둑을 도둑질하기
유네스코의 추산에 의하면 지금까지 바다에 침몰한 난파선은 300만 척 이상입니다.
이 중 인양비를 들일 가치가 있는 보물선은 3,000여 척입니다.
이 모든 보물선의 가치를 돈으로 환산하면 무려 600억 달러,
즉 80조 원어치의 보물이 깊은 바닷속에 잠자고 있습니다.
그런데 보물선이 인양되면 그 보물은 누구 것일까요?
이 배분 싸움에도 강대국의 논리가 적용됩니다.
[삶이 허기질 때 나는 교양을 읽는다] 2권이 출간되었습니다.
1권은 '2023년 세종도서 우수교양부문'에 선정되었습니다.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 도서 구매 링크
2권 bit.ly/44RuVmt
1권 bit.ly/3tnybpW
#보물선소유권 #보물선가치 #보물선숫자
Просмотров: 92 390

Видео

유럽은 왜 불편한 돌길을 고집하는 걸까? (feat : 길은 어떻게 발전했나)
Просмотров 543 тыс.День назад
유럽의 오랜 도시들은 대부분 길이 돌로 포장되어 있습니다. 오랜 세월 수많은 사람과 말과 마차가 드나들면서 반들반들합니다. 하지만 보기는 좋아도 여행자들에게 돌길은 은근 불편한 점들이 여럿입니다. 오래 걸으면 발바닥도 아프고, 돌에 걸려 넘어질 수도 있으며, 특히 무거운 여행 가방을 끄는 데는 최악입니다. 현지인이라고 불편하지 않을 리도 없습니다. 시끄럽고, 승차감도 나쁘고, 타이어도 빨리 갈아야 합니다. 게다가 도로 유지비도 상당합니다. 그럼에도 유럽인들은 여전히 수백 년 전에 깔린 돌길을 고집하고 있습니다. 여러 불편함을 감수할만한 돌길의 장점이 무엇이길래 그런 걸까요? [삶이 허기질 때 나는 교양을 읽는다] 2권이 출간되었습니다. 1권은 '2023년 세종도서 우수교양부문'에 선정되었습니다. 많은 ...
같은 섬 두 나라, 아이티와 도미니카는 왜 극단적으로 차이가 날까?
Просмотров 354 тыс.14 дней назад
1492년, 신대륙에 닿은 크리스토퍼 콜럼버스는 이때 디딘 한 섬에 히스파니올라(Hispaniola)라는 이름을 붙였습니다. ‘스페인 섬’이라는 뜻입니다. 우리의 80% 정도 크기만 한 이 섬엔 지금 두 개의 나라가 자리하고 있습니다. 서쪽의 아이티와 동쪽의 도미니카공화국입니다. 출발이 같던 이 두 나라의 현실은 이제 극과 극입니다. 도미니카가 꽤 안정적인 중진국이라면 아이티는 조폭이 지배하는 생지옥입니다. 1인당 국민소득으로만 따져도 도미니카와 아이티는 6배의 차이가 납니다. 그 이유가 무엇일까요? [삶이 허기질 때 나는 교양을 읽는다] 2권이 출간되었습니다. 1권은 '2023년 세종도서 우수교양부문'에 선정되었습니다.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 도서 구매 링크 2권 bit.ly/44RuVmt 1권...
항구는 어떤 곳에 들어설까? 생각보다 훨씬 더 까다로운 항구의 입지 조건
Просмотров 338 тыс.Месяц назад
내륙국처럼 항구가 없으면 해외 무역에 절대 불리해 경제 발전을 이루기 어렵습니다. 하지만 바다가 있다고 해서 아무 데나 항구를 만들 수는 없습니다. 바다가 있는 나라들은 늘 좋은 항구를 꿈꾸지만 모두가 가질 수 있는 건 아닙니다. 많은 수출입품과 거대한 배들이 오가는 현대의 무역항은 생각보다 훨씬 더 까다로운 입지 조건을 갖추어야 합니다. 좋은 항구가 되기 위한 자연적인 조건과 인공적인 조건을 알아봅니다. [삶이 허기질 때 나는 교양을 읽는다] 2권이 출간되었습니다. 1권은 '2023년 세종도서 우수교양부문'에 선정되었습니다.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 도서 구매 링크 2권 bit.ly/44RuVmt 1권 bit.ly/3tnybpW #항구조건 #항구입지 #항구역사
지브롤터가 막히면 지중해는 어떻게 될까?
Просмотров 306 тыс.Месяц назад
아프리카와 유럽 두 대륙이 바짝 붙어 있는 지브롤터 해협이 막혀 버리면 지중해에 어떤 일이 벌어질까요? 그런데 알고 보니 이 해협을 정말 막으려는 계획이 있었습니다. 독일의 건축가 헤르만 죄르겔(Herman Sörgel) 같은 사람입니다. 그는 지브롤터와 시칠리아를 댐으로 막아 신대륙을 만든다는 어마어마한 계획을 세웠습니다. 아틀란트로파(Atlantropa) 프로젝트라는 것입니다. 그런데 실제로 이런 일이 벌어진 적이 있으니 아주 까마득한 옛날의 ‘메시나절 염분 위기’입니다. 지브롤터가 막히면 지중해가 어떻게 될지는 이 옛날 일을 보면 알 수 있습니다. [삶이 허기질 때 나는 교양을 읽는다] 2권이 출간되었습니다. 1권은 '2023년 세종도서 우수교양부문'에 선정되었습니다.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
중국의 판다 외교는 어떻게 시작되었고, 그 성격은 무엇일까?
Просмотров 84 тыс.Месяц назад
얼마 전 푸바오가 중국으로 떠났습니다. 정말 많은 사람이 아쉬워했고, 신드롬이라고 할만한 판다 열풍이 불었습니다. 그런데 푸바오는 단순한 판다가 아니었습니다. 중국의 소프트파워를 상징하는 판다 외교의 산물이었던 거죠. 한국에서 태어났지만 푸바오 역시 언젠가는 중국의 ‘이미지 메이킹’을 위해 또 다른 나라에 파견될지도 모를 일입니다. 중국의 판다 외교는 어떻게 시작되었고, 그 성격은 무엇인지 알아봅니다. [삶이 허기질 때 나는 교양을 읽는다] 2권이 출간되었습니다. 1권은 '2023년 세종도서 우수교양부문'에 선정되었습니다.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 도서 구매 링크 2권 bit.ly/44RuVmt 1권 bit.ly/3tnybpW #중국판다 #판다외교 #판다대여료
일본에 경차가 많은 이유. 왜 박스카가 압도적일까?
Просмотров 619 тыс.2 месяца назад
일본은 경차 왕국입니다. 거리에 다니는 자동차의 35%가 경차입니다. 자동차 산업을 시작할 때부터 그랬고, 경제가 한풀 꺾인 요즘도 마찬가지입니다. 심지어 일본의 전성시대라 할 1980년대의 거품 경제 때도 일본의 경차 비중은 30%가 넘었습니다. 한때 세계 두 번째의 경제 강국이었음에도 일본은 왜 줄기차게 작은 차를 고집하는 걸까요? 그리고 한국에선 별 인기 없는 박스카가 일본에선 왜 경차의 대세가 된 것일까요? 이유는 여럿이지만 분명한 건 일본인들이 검소하거나 실용적이기 때문만은 아니라는 것입니다. 그 이유를 알아보기 전에 일본인들은 아주 오래전부터 좁게 사는 데 익숙하다는 점을 이해해야 합니다. [삶이 허기질 때 나는 교양을 읽는다] 2권이 출간되었습니다. 1권은 '2023년 세종도서 우수교양부문...
소금은 세계를 어떻게 바꾸었나. ‘소금을 지배한 자가 세상을 지배한다’
Просмотров 243 тыс.2 месяца назад
인류가 처음 소금을 쓴 기원전 6,000년 경부터 소금은 줄곧 부와 권력의 상징이었습니다. 그래서 역사의 대부분은 소금을 지배한 자가 곧 세상을 지배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지금은 아무도 귀히 여기지 않는 이 작은 알갱이가 세상을 어떻게 바꾸었는지 큰 흐름을 따라가 봅니다. 수렵 시대만 해도 인간은 따로 소금을 먹을 필요가 없었습니다. 동물의 살과 피를 먹는 것으로 충분해서입니다. 하지만 농경을 시작하면서 상황이 달라졌습니다. * 이 영상은 최근 '물질의 세계'를 출간한 인플루엔셜과 협업으로 만들었습니다. ‘이코노미스트’, ‘파이낸셜타임즈’, ‘더타임스’ 등 세계적 언론사가 선정한 ‘2023년 올해의 책’으로 다양한 자원의 세계사를 다루고 있습니다. * 도서링크 교보문고 : bit.ly/3T3w5...
‘자원의 저주’ - 자원이 많다고 다 좋은 건 아닙니다
Просмотров 284 тыс.2 месяца назад
지금은 천연자원을 경제발전의 필수 요소로 꼽는 경제학자는 거의 없습니다. 그 산 증인이 바로 우리와 일본이고, 유럽에선 독일이죠. 오히려 요즘엔 자원이 많을수록 경제성장이 둔해지고, 국민을 빈곤하게 만든다고 합니다. 영국의 경제학자 리처드 오티가 처음 말한 ‘자원의 저주’가 그것이죠. 얼핏 보면 자원이 경제발전에 도움은커녕 방해가 된다는 건 상식적이지 않아 보입니다. 이 영상에선 지나친 자원이 어떤 방식으로 한 나라를 망치게 되는지 얘기해 봅니다. [삶이 허기질 때 나는 교양을 읽는다] 2권이 출간되었습니다. 1권은 '2023년 세종도서 우수교양부문'에 선정되었습니다.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 도서 구매 링크 2권 bit.ly/44RuVmt 1권 bit.ly/3tnybpW #자원의저주 #자원이많으면...
도량형 통일 2부. 여전히 진행 중인 1미터 정하기
Просмотров 116 тыс.2 месяца назад
도량형이 세계적으로 통일된 덕에 우리는 오늘날과 같은 수준의 과학 문명을 누리고 있습니다. 우리가 보통 미터와 킬로그램을 사용할 때는 키와 몸무게를 잴 때입니다. 하지만 아무도 이 숫자가 어디서 왔는지 의문을 품지 않죠. 그렇지만 이 배경에는 수백 년에 걸친 과학자들의 고뇌가 담겨 있습니다. 지금 이 순간도 마찬가지입니다. 이 모든 일은 전 세계 어디나 똑같이 1미터가 1미터일 수 있도록, 그리고 1킬로그램이 1킬로그램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입니다. 1부에선 미터의 정확한 길이를 정하기 위한 원정대가 험난한 여행을 떠나는 장면까지 다루었고 이 영상은 2부입니다. [삶이 허기질 때 나는 교양을 읽는다] 2권이 출간되었습니다. 1권은 '2023년 세종도서 우수교양부문'에 선정되었습니다. 많은 관심 부탁...
도량형 통일 1부. 7년 걸린 과학자들의 1미터 원정대
Просмотров 146 тыс.3 месяца назад
우리는 미터와 킬로그램으로 이뤄진 세상을 살고 있습니다. 이 도량형은 거의 전 세계에서 통합니다. 지구상에 다양한 문화와 언어가 존재한다는 것을 생각하면, 전 세계가 미터와 킬로그램으로 통일된 것은 상당히 놀라운 일입니다. 하지만 그 과정은 험난했습니다. 특히 이 단위계의 가장 기본인 1미터와 1킬로그램이 얼만큼의 길이이고, 얼만큼의 무게인지 정하는 게 난제 중의 난제였습니다. 이를 위해 과학자들은 7년간의 원정을 떠나야 했습니다. [삶이 허기질 때 나는 교양을 읽는다] 2권이 출간되었습니다. 1권은 '2023년 세종도서 우수교양부문'에 선정되었습니다.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 도서 구매 링크 2권 bit.ly/44RuVmt 1권 bit.ly/3tnybpW #도량형통일 #도량형보급 #1미터정하기
우크라이나는 왜 피할 수도 있는 전쟁에 뛰어들었나. 우크라이나 전쟁 2년 돌아보기
Просмотров 626 тыс.3 месяца назад
우크라이나와 러시아의 전쟁(이하 우크라이나 전쟁)이 이제 2년 되었습니다. 이 전쟁을 지켜보면서 내내 드는 한 가지 의문이 있습니다. “우크라이나는 왜 피할 수도 있는 전쟁에 뛰어들었는가”입니다. 그것도 러시아 같은 군사 대국과 말입니다. 이 질문 속엔 이 전쟁의 동기는 물론 현재 처한 우크라이나와 러시아의 고민이 함께 담겨 있습니다. [삶이 허기질 때 나는 교양을 읽는다] 2권이 출간되었습니다. 1권은 '2023년 세종도서 우수교양부문'에 선정되었습니다.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 도서 구매 링크 2권 bit.ly/44RuVmt 1권 bit.ly/3tnybpW #러시아우크라이나전쟁현황 #러시아우크라이나전쟁이유 #우크라이나전쟁영향
동남아의 그 많은 오토바이, 정말 없어지는 걸까?
Просмотров 449 тыс.3 месяца назад
“애인은 없어도 오토바이는 없으면 안 된다” 동남아의 흔한 얘기입니다. 심지어 “집은 없어도 오토바이는 있어야 한다”고도 합니다. 동남아의 젊은이들에게 오토바이는 핸드폰과 함께 꼭 가져야 할 양대 필수품입니다. 동남아의 대표적인 나라들인 태국 베트남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등은 모두 전체 가정의 80% 이상이 한 대 이상의 오토바이를 갖고 있습니다. 고급 오토바이는 사회적인 지위와 부, 그리고 허세의 상징이기도 합니다. 한마디로 동남아에서 오토바이는 이동 수단 그 이상의 존재입니다. 그런데 최근 동남아 각국 정부가 오토바이 퇴출에 나섰습니다. 동남아에 무슨 일이 있는 걸까요? [삶이 허기질 때 나는 교양을 읽는다] 2권이 출간되었습니다. 1권은 '2023년 세종도서 우수교양부문'에 선정되었습니다. 많은 ...
만드는 것보다 보급이 더 어려웠던 첫 백신, 천연두 정복을 위한 인류의 분투기. 제너의 우두법이 인류를 구하다
Просмотров 127 тыс.4 месяца назад
그간 인류는 전염병과의 전쟁에서 연전연패해왔습니다. 그러다 딱 한 번 이겼는데 이게 세상을 바꾸어 놓았습니다. 1796년 에드워드 제너의 우두법(牛痘法) 덕분입니다. 이 백신을 둘러싼 모든 것이 악전고투였습니다. 백신을 만들기 위해선 무모하면서도 비윤리적인 실험을 해야 했습니다. 냉동보관시설이 없던 시절, 백신을 해외로 운송하는 것도 보통 일이 아니었습니다. 백신을 맞도록 설득하는 건 더 어려웠습니다. 사람들은 좀처럼 새로운 것을 받아들이려 하지 않았습니다. * 이 영상은 최근 ‘미국사를 뒤흔든 5대 전염병’을 출간한 원앤원북스와 협업으로 만들었습니다. 이 책은 질병사(史) 권위자인 김서형 교수가 미국사의 주요 흐름을 전염병과 대통령 이야기로 풀어내고 있습니다. * 도서링크 예스24 : www.yes2...
내륙국은 왜 가난할 수밖에 없을까? 내륙국의 지리적 단점
Просмотров 784 тыс.4 месяца назад
우리는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인 나라에 살고 있습니다. 그래서 오히려 평소엔 바다가 얼마나 귀한지 잘 모릅니다. 하지만 내륙국이라면 어떨까요? 이 세상엔 바다가 전혀 없는 나라가 44개국이나 됩니다. 극히 일부를 빼곤 이 나라들은 대부분 가난합니다. 바다가 없어서입니다. 세계 최빈국의 약 40%를 차지하는 곳도 다른 나라들로 둘러싸인 내륙국입니다. 바다가 없는 나라는 왜 가난한지, 그리고 그 외에도 어떤 어려움을 겪게 되는지 알아봅니다. [삶이 허기질 때 나는 교양을 읽는다] 2권이 출간되었습니다. 1권은 '2023년 세종도서 우수교양부문'에 선정되었습니다.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 도서 구매 링크 2권 bit.ly/44RuVmt 1권 bit.ly/3tnybpW #내륙국단점 #내륙국가난한이유 #바다없는나라
절망의 땅 르완다에 무슨 일이? 이제 아프리카의 싱가포르를 꿈꾸다
Просмотров 564 тыс.4 месяца назад
절망의 땅 르완다에 무슨 일이? 이제 아프리카의 싱가포르를 꿈꾸다
필리핀에선 왜 중남미 같은 스페인 혼혈이 일어나지 않았을까?
Просмотров 744 тыс.5 месяцев назад
필리핀에선 왜 중남미 같은 스페인 혼혈이 일어나지 않았을까?
유럽의 저녁식사 시간은 왜 이렇게 다를까? 삼시세끼는 언제부터?
Просмотров 455 тыс.5 месяцев назад
유럽의 저녁식사 시간은 왜 이렇게 다를까? 삼시세끼는 언제부터?
태국이 식민지가 되지 않은 이유, 땅의 절반을 떼어주다
Просмотров 624 тыс.5 месяцев назад
태국이 식민지가 되지 않은 이유, 땅의 절반을 떼어주다
동남아 이해하기 3. 해양권 국가 간의 관계
Просмотров 263 тыс.5 месяцев назад
동남아 이해하기 3. 해양권 국가 간의 관계
동남아 이해하기 2. 대륙권 국가 간의 관계
Просмотров 345 тыс.5 месяцев назад
동남아 이해하기 2. 대륙권 국가 간의 관계
동남아 이해하기 1. 특징과 각 나라의 포지션
Просмотров 375 тыс.6 месяцев назад
동남아 이해하기 1. 특징과 각 나라의 포지션
영어 이름에 대해 우리가 알아야 할 몇 가지
Просмотров 214 тыс.6 месяцев назад
영어 이름에 대해 우리가 알아야 할 몇 가지
미국이 수도를 계속 옮겨야 했던 이유. 뉴욕-필라델피아-워싱턴DC 변천사
Просмотров 242 тыс.6 месяцев назад
미국이 수도를 계속 옮겨야 했던 이유. 뉴욕-필라델피아-워싱턴DC 변천사
로마부터 미국까지, 오벨리스크를 탐낸 이유
Просмотров 326 тыс.6 месяцев назад
로마부터 미국까지, 오벨리스크를 탐낸 이유
동남아에 목잘린 불상이 많은 이유
Просмотров 361 тыс.7 месяцев назад
동남아에 목잘린 불상이 많은 이유
다른 나라도 남향집을 좋아할까? 우리가 남향집을 좋아한 건 비교적 최근
Просмотров 316 тыс.7 месяцев назад
다른 나라도 남향집을 좋아할까? 우리가 남향집을 좋아한 건 비교적 최근
인도의 14억 명은 왜 인도공과대학에 목숨걸까? 학원도시까지 생겨.
Просмотров 296 тыс.7 месяцев назад
인도의 14억 명은 왜 인도공과대학에 목숨걸까? 학원도시까지 생겨.
창업자 이름을 회사 이름으로 쓰는 이유와 장단점. 그런데 우리는 왜 안 쓸까?
Просмотров 332 тыс.7 месяцев назад
창업자 이름을 회사 이름으로 쓰는 이유와 장단점. 그런데 우리는 왜 안 쓸까?
유럽에 화장실이 없는 이유, 그리고 유료인 이유
Просмотров 2,8 млн7 месяцев назад
유럽에 화장실이 없는 이유, 그리고 유료인 이유

Комментарии

  • @raeonardobak
    @raeonardobak 12 минут назад

    덕분에 잘 봤고요 그겸에 1980년 미국과 국제기구가 아이티에 저지른 또 다른 만행인 아이티 토종돼지(크리올돼지)말살사건에 대한 동영상도 부탁드립니다.

  • @tool6431
    @tool6431 37 минут назад

    빈국이니깐.... GDP만 높지.. 현실은 가족전체가일해야 겨우먹고사는 나라일본...가처분소득이 거의 없음.. 유일하게 대한민국보다 더 빈부격차가 큰나라. 일본 5집중 한집이 몸파는업종에 종사하는 나라...

  • @intb653
    @intb653 Час назад

    저 오토바이가 차로 바뀐다니 상상만 해도 소름돋네요 과연 도로일까 주차장일까

  • @user-fw6vi4rt5q
    @user-fw6vi4rt5q 2 часа назад

    불편함을 운치로 포장 시골을 시골 갬성으로 포장 하는 짓은 그만두자 개소리는 홍수는 배수량의 한계를 넘어 섰을 때 발생하는 거지 홍수 걱정할 거면 배수관 관리 잘 하는 게 훨씬 이득이다. 솔직히 저게 흡수를 한다고 해도 스폰지처럼 되는 것도 아니고 천천히 되는 거지 불편함이 훨씬 많다. 제발 유럽의 환상 좀 버려라 버려 아 나 참 요즘 기상 이변에 유럽에 에어컨 없어서 사람들 애 먹는 거 안 보이냐

  • @user-mp8vk8gx8y
    @user-mp8vk8gx8y 8 часов назад

    일단 공산당에서 어느정도 지위에 올라가 있는 간부들 자식들만 국대로 발탁 될 가능성이 있다는 것부터 못 고치는 것들이 무슨 ㅋㅋㅋ 거기다가 어릴 때부터 세뇌 교육 받으며 자란 소황제들은 지가 세상의 주인공이라는 인식 때문에 지가 못한다는 자각조차 하지 못한 채 팀탓충으로 성장했다는 것도 문제임 걍 푸가 뒤져서 새로운 개혁 지도자가 주석이 되거나 지구가 망해서 중국만 살아 남지 않는 이상 축구에서만큼은 절대로 중국이 원하는대로 될수가 없음

  • @roadsofbali
    @roadsofbali 9 часов назад

    저 많은 오토바이들이 사륜차가 된다고 생각해보셈 지금도 끔찍하게 막히는데 걍 지옥이 되는 거지. 사륜차 많은 방콕 이런데 진짜 교통체증 개끔찍임

  • @user-zx1fy8fw4c
    @user-zx1fy8fw4c 10 часов назад

    남성우월주의 이런 표현 되게 좋아하시네요.

  • @ItalianSocialRepublic
    @ItalianSocialRepublic 10 часов назад

    일단 지중해 줄어들면 베네치아,제노바,로마,나폴리,팔레르모같은 유서깊은 도시가 무너져서 이탈리아가 개빡칠것같은데요?

  • @user-go6il2tm4b
    @user-go6il2tm4b 10 часов назад

    필리핀 요즘은 스페인어나 성씨 거의 없고 다 영어라더라, 미국한테 털렸잖슴

  • @user-go6il2tm4b
    @user-go6il2tm4b 10 часов назад

    아이티 불쌍한 나라군

  • @minsukson9208
    @minsukson9208 11 часов назад

    1위도쳣죠 좁아서 술집가도 자리세받음

  • @minsukson9208
    @minsukson9208 11 часов назад

    원래 다 세금으로함 다만 유러ㅂ은 자신비밀에모ㄱ숨검 하이힐 허리코르셋 들키면아웃 ㅋ 시크레슈즈 ㅁㅗ자 ㅋ 닭다리도천해서 다크미트라함 미국에들 아메리컨스타일도이상한것만배워서집에서 킬힐신고 들감ㅋ 난장숏ㄷㄹ 되는꼬못봄 그이유로? 목욕같이못함ㅋㅋ 찜질방데려가야ㅎㅎ 아 등산데려가면되긋네 갈까과연 ㅋㅋ

  • @user-tl5ym1jz6m
    @user-tl5ym1jz6m 11 часов назад

    좋은 영상감사합니다

  • @hellggg-pg9oo
    @hellggg-pg9oo 11 часов назад

    이런거공부 할 시간에 더 열심히 일하고 벌었으면 남자에 대한 불평불만도 없었겠지😂

  • @user-xz6vj5ts3b
    @user-xz6vj5ts3b 12 часов назад

    교회는 지금이나 옛날이나 문제네

  • @oooo6394
    @oooo6394 12 часов назад

    카톨릭은 그리스도교가 아닙니다 몰락해야 당연했던것입니다

  • @pr9508
    @pr9508 13 часов назад

    국가별로 개인 식별번호는 왠만하면 다 있어요……몇명사는지 알 수 없는 나라는 없지, 일단 저런 식별 번호가 없으면 선진국에서 사회보장제도가 유지될 수 없습니다…….많은 나라에서 주민등록증은 없지만 다른 국가발행 ID카드 사용하고요. 유투브 100%믿지 마세요.

  • @user-xd7px9eh1c
    @user-xd7px9eh1c 13 часов назад

    젤런스키와 우크라이너의 자업자득이다.

  • @user-nh2ol3mo8b
    @user-nh2ol3mo8b 13 часов назад

    한국에도 있자나염 노소영이 승소할려고 애비 이용한거 ㅋㅋㅋ 남편돈 뺏어올려고 더더러운돈 들처내기

  • @user-mw2vf4ce4s
    @user-mw2vf4ce4s 13 часов назад

    정신차려야 타고난 천재들이 고심해서 만든 미국이란다 이들이 아니었으면 남미나 멕시코꼴 났을 거다

  • @HyunCkh-j9e
    @HyunCkh-j9e 14 часов назад

    우리의 미래가 아닌 현재 진행형 ㅎㅎ

  • @user-yg7ye7dy7c
    @user-yg7ye7dy7c 14 часов назад

    빗물도 스며들고 지하수저장 친환경 돌도로, 시멘트 콘크리 아스팔트는 화학독성들이 나온다.

  • @uriari7692
    @uriari7692 16 часов назад

    건조해서 그렇지. 폭염이어도 실내나 그늘에만 있어도 견딜만하고, 거기에 선풍기만 틀어도 시원함. 고온다습하면 에어컨 없이 못 살지.

  • @jingoo77
    @jingoo77 18 часов назад

    저도 로버트 찰리를 찰리 로버트라고 한글로 안 적는데 왜 우리는 이러나 싶어서 성+이름으로 적었는데 정부에서도 권장하고 있었군요.

  • @user-mw2vf4ce4s
    @user-mw2vf4ce4s 18 часов назад

    이제는 가장 늦게 산업혁명을 한 자유대한이 세계를 호령할 거다 세계최대투자회사 골드만삭스가 20여년전 예측을 올해 또 다시 자유대한이 G2로 발전한다고 예언했단다 이 작은 나라가 세계 최강이 된다는 것인데 사기탄핵과 사기선거당 체포해 그 예언을 성공시켜야 한다

  • @user-tj5dg7uu5w
    @user-tj5dg7uu5w 19 часов назад

    이거에 감명받아 이명박이 추진했던 4대강... 3면이 바다인곳에서.... 그리고 한강을 물류강으로 만들려면 한강 수십개 다리 다 뜯어내고 다시지어야함.....

  • @Ycmjg37143
    @Ycmjg37143 21 час назад

    그리고 우리나라를 비롯한 동아시아권의 건축방식은 건물중심이 아니라 건물 안에서 밖을 보는 구조인 경우가 많아요. 그게 철근 콘크리트 아파트로 바뀐 후에도 건물 안에서 한옥처럼 밖을 보고자 하는 것이 매우 강하다보니 거실 창문을 매우 크게 냅니다. 그런 상황에서 어거지로 유럽식 인테리어를 하는데다 하수배관 생각하지도 않고 거실과 부엌을 바꾸는 리모델링으로 곤혹을 겪는 집들이 상당히 많다고 합니다. 심지어 자연스럽지도 않고 진짜 어색합니다. 그래서 우리나라 궁궐에 방문해서 볼때 우리가 궁궐을 보는 시야를 보는 것도 좋지만 궁궐 측에 서서 반대편을 바라보는 시야로 보시는 것도 더 좋다고 합니다. 중국 자금성도 거의 그런식이에요. 물론 일본은 자기 문화재들의 대부분을 거의 세멘으로 보수해놔서 그 느낌이 많이 약하기에 진짜 온전하게 보존된 대를 잘 찾아서 가셔야 합니다. 중국은 만리장성을 세멘으로 보수하고 있고요. 심지어 일본은 자기 문화재 건물 안에 엘리베이터 만들겠다며 구지 건물 안에 엘리베이터를 만들어 훼손하는 경지를 보이기도 합니다. 문화유산이 있는 건물에 엘리베이터 설치하고 싶으면 외부에 설치해도 되는데

  • @user-wk9eb8cc2p
    @user-wk9eb8cc2p 21 час назад

    우린 미국 아니었으면 아스팔트는 커녕 흙길로만 다녔을거에요 ^^ 다른 문화를 받아들이지 않으려하는 보수적인 성향이 강하기때문이죠 ^^

  • @yjgjy5
    @yjgjy5 21 час назад

    다다미 쒯더뻑임.오래되면 다다미가루 계속나오고 뭐 흘리면 뭣 됨

  • @leoadrian4582
    @leoadrian4582 22 часа назад

    이집트는 정말 위대했네

  • @user-nh6tp4rc2l
    @user-nh6tp4rc2l 23 часа назад

    그래그래 한국여자들 싹다 중국남자 만나러가라 ㅋㅋㅋㅋ

  • @user-rp2qv7tf6n
    @user-rp2qv7tf6n День назад

    설명하는 목소리가 듣기에 참 편안하네요.

  • @user-pv9ob1rm6t
    @user-pv9ob1rm6t День назад

    어차피 한배를 탄 친일매국노간첩이니까 진짜 일본 영국해적을 일본이라하지 못하고 가짜 니뽕족짓을 100년째 하는것만 봐도 두개의 이념으로 끊임없이 대적하게 만든것도 해적짓이라함 그래서 민주주의인데도 북한이나 중공에서 일어날짓이 가끔 남한에서도 일어나고 미쿡에서도 일어나고 억울하고 힘든 사람들은 여전히 많고 자본주의가 공산주의라함 말장난과 연극이었던거

  • @Park-YoungJin
    @Park-YoungJin День назад

    1:40 테니스나 배구 인구?인기?가 농구보다 높다는 건 의아하다

  • @user-uq6xd9qc4z
    @user-uq6xd9qc4z День назад

    그제. 포르쉐하고 스파크하고 추돌해서. 스파크 운전자 사망 포르쉐 운전자 경상..운전할거면 돈 들더라도 경차는 몰지말자. 일본도 경차는 사망자 엄청 많다고 한다

  • @denis-kp5sc
    @denis-kp5sc День назад

    한국의 박정희네 🎉🎉🎉

  • @user-qd8oz6sz4y
    @user-qd8oz6sz4y День назад

    ㅎ ㅎ 가공된 지식(조작된 지식)

  • @user-gz2cn1dk4k
    @user-gz2cn1dk4k День назад

    음...이런 뒷배경이 있었네...6월 초에 스위스 렌터카여행 했었는데 일반도로 가다가 화장실 이용하는데 헐~~1프랑(1500원)을 넣어야 입장이 가능함...돈아까워서 큰일 볼려고 했는데 나올리가 없지...오줌 한번 누고 1500원 낼려니 진짜 돈아깝데...

  • @judgejung488
    @judgejung488 День назад

    결론에도 나왔지만 돈이 없어서일뿐임. 돈 많으면 큰집에서 큰차 타는건 만국 공통. 이직까지는 우리나라 물가가 일본 보다는 싼데 GNI는 3년 전 인가 일본을 앞질렀고 기대 소득 상승률도 일본보다 높음. 그러니까 빌라에 월세 살아도 할부 지르지. 저축이 뭐냐며 버는 족족 소비해버리는 소비대국 미국인들도 소득 후달리면 중소형 세단 몰고다님.

  • @user-sn9rf8mk5w
    @user-sn9rf8mk5w День назад

    그런데 왜 우리는 돌길을 까냐.. 남이 장에 가면 거름지고 장에간다고 남이 하니 좋아보여서 그냥 따라하는건 정신나간것..

  • @user-ct2eu5hw8x
    @user-ct2eu5hw8x День назад

    슈카...

  • @user-mo7rm3id2d
    @user-mo7rm3id2d День назад

    진짜 간단하다 그것은 축구를 대하는 태도가 진심이 아니기때문이다 응원만 광적으로하면 축구를 잘하는거냐!~ 그거는 누구나 할수있는거고 유소년부터 프로축구까지 그들이 축구를 대하는 태도를 봐라!~ 지금의 성적이 정답인거다 ㅋㅎㅎㅎ

  • @user-qw3xw4cd2y
    @user-qw3xw4cd2y День назад

    구글지도에서 찾아 화장실갈땐 불편했지만 우리도 유료화하여 화장실청소하는사람 처우개선에 사용하는게 좋타고 봅니다. 여행객들에게도 돈받고.

  • @judgejung488
    @judgejung488 День назад

    또 엉터리 자기 생각 붙이셨네.. 유럽 머저리들이 돌길 쓰는건 그저 역사유적 관리법 때문이여. 뭔 배수가 어쩌구 진동이 어쩌구임? 유럽의 좌우 머저리 정치가들은 시민의 편의성 같은건 내다버린지 오래잔아. 건물 손상된다고 인테리어도 못하고 에어컨도 설치 못한다는게 이게 인본주의 르네상스의 후예들이 할 짓이야?? 여행자 케리어만 못 다녀? 장보러다니는 아주머니 할머니들 카트도..자전거도 장애인 휠체어도 못다니고 바퀴 작은 이동수단은 다 지옥이다. 정말 끔찍한 구태 유럽... 한군데도 본받고 싶은게 없어!!

  • @user-ms9jw5ej2p
    @user-ms9jw5ej2p День назад

    일본은 어촌 마을이 많거든ㅋㅋㅋ 해산물이 많으면 거기에 몰리는게 바로 고양이다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scbaik254
    @scbaik254 День назад

    저런게 외교다

  • @elonmusk6893
    @elonmusk6893 День назад

    개씹노잼 극혐 스포츠 ㅋㅋㅋㅋㅋㅋㅋ

  • @탐구학당
    @탐구학당 День назад

    산호세호를 둘러싼 각국의 이해관계와 역사적인 배경을 통해 국제 해양법과 유네스코 협약의 중요성을 다시금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 @nowonkang
    @nowonkang День назад

    폼생폼사 정신이 문제 빈깡통이 요란하듯 개뿔도 없는것들이 대형에외제차 그러다 망하지요